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16 17:01
본문
Download :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hwp
일찍이 조셉 루프트(Joseph Luft)와 해리 잉검(Harry Ingham)은 Western Training Laboratory에서 효율적인 지도력을 위한 Leader의 지각과 다른 사람들의 지각에 관한 理論을 紹介(소개)하였다.
넷째, 미지의 영역(Unknown Area)은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이에 따르면 아래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리더의 행동이나 태도 중 리더 자신이 이를 잘 알고 있는 부분(Known to Self Area)과 잘 알고 있지 못하는 부분(Unknown to Self Area)이 있다고 한다. 전자는 리더가 부하들에게 미치는 effect력이나 그 결과를 잘 알 수 있는 부분이고, 후자는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이다. 리더가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거나 털어놓지 않아 감추거나 숨겨진 부분을 말한다.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 ,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인문사회레포트 , 조해리 창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 중요성
레포트/인문사회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
조해리,창,조직사회에서,대인관계,중요성,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hwp( 79 )
순서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
조해리의 창을 통한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
현대 조직사회에서 대인관계의 중요성은 누구나 공감하는 부분이다.
셋째, 비공개적/개인적 영역(Private Area)은 나 자신은 알고 있지만 상대방은 모르고 있는 부분을 말한다. 이 부분은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하여 알 수 없지만, 새로운 경험이나 행동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이 그림에서 보면, 리더는 보다 개방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기꺼…(투비컨티뉴드 )
설명
다.
둘째, 숨겨진 영역(Blind Area)은 자신은 잘 모르고 있으나, 다른 사람에게는 알려져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행동이 자유롭다. 프로이드는 이 부분을 잠재의식 또는 무의식(Subconscious or Unconscious)이라 한다.
- 조해리의 창 -
첫째, 공개적 영역(Public Area)은 나 자신이 잘 알고 있고, 상대방도 나를 잘 알고 있는 영역이다. 이는 부하들이 리더에게 기꺼이 피드백 해 주려고 하지 않거나 또는 그들이 리더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하여 언급하기보다는 차라리 맹목적인 추종만을 보이기 때문에 알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