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20-1>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4 22:51
본문
Download : 국어사 시대 구분.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역싸 공통
우리말의역사,국어사,국어사의시대구분,언어적특징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및 각시기의 언어적 특징
다. 물론 국어의 역사상 가장 큰 alteration(변화) 를 가져온 사건은 훈민정음의 창제라 할 수 있다아 이전까지 입말로만 사용되었던 국어가 비로소 글말의 위치에 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국어사의 시대구분이 고대국어(9세기까지 쓰던 국어), 중세국어(10세기~16세기), 근대국어(17세기~19세기), 현대국어(20세기 이후)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아 국어는 음운, 어휘, 문법, 표기 등 전분야에 걸쳐 끊임없는 alteration(변화) 를 겪으면서 현대의 모습에 이르렀다.
(예 : 1장 고대국어 / 2장 중세국어 / 3장 근대국어)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 역대 史書 편찬 방법
1) 시대 구분의 기준(근거)
기전체(紀傳體) : 본기/열전/지 등, 항목별로 나누어 서술 예) 삼국사기
1) 분야를 먼저 나눈 다음에 각각의 분야를 시대 순으로 서술
순서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역사 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Download : 국어사 시대 구분.hwp( 32 )
설명
<방통대 2020-1>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





1. 국어사의 서술 방법
1. 국어사의 서술 방법
(예 : 1장 음운사 / 2장 문법사 / 3장 어휘사)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
2) 시대를 먼저 나눈 다음에 각 시대별로 분야를 나누어 서술
2) 시대 구분의 實例
편년체(編年體) : 각종 사건이나 사항을 연대순으로 서술 예) 조선왕조실록
3. 서지사항
국어사의 시대구분이란 역사적인 시간의 발전에 따라 국어사를 통사적으로 구분해 놓고 연구하는 방식이다. 특히 사회현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를 통해 발생하게 된 언어적 차별성을 시대 구분의 기준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