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chmark.co.kr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 benchmark2 | benchmark.co.kr report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 benchmark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enchmark2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20:29

본문




Download :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hwp




또한 포함시키는 장르로는, 이때 나타난 시가들인 東學歌辭, 義兵歌辭, 開化歌辭, 唱歌, 新體詩 등인데 동학가사와 의병가사는 고전가사체를 이은 것이고 개화가사, 창가, 신체시 등은 현대시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갈래라고 한다.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

에서 개화기 시가를 언급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비교적 후기에 나온 것인 만큼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의 모순점을 지적하고 있으나 역시 이 책도 개화기 시가 data(자료)의 제시가 충분하지 못하다. 그러나 한국 근대 시가를 지칭하는 용어와 포함시켜야 하는 장르가 학자마다 그 견해가 달라 문제가 되지만 아직까지 그 견해차를 해소하지 못하여 통일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김문기는 ‘전환기 시가’의 시점을 1860년에 崔濟愚가 득도하면서 지은 東學歌辭로부터 3.1 운동 전까지를 잡고 있다 1860년부터 처음 하여 3.1 운동 전까지 민중의 각성과 만민평등사상이 나타나기 처음 했고 차츰 지배체제를 부정하고 민족을 수호하려는 근대적인 민족의식이 형성되기 처음 했으므로 이 시기는 근대문학으로 전환되는 과도기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http://gojun.knu.ac.kr).



설명
에서 개화기시가들을 재래의 것과 수입된 것으로 양분하여 검토하고 있는데, 개화기 창가 자체의 연구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순서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먼저 용어문제에 있어서, 한국 근대 시가를 지칭할 때 ‘개화기 시가’와 ‘전환기 시가’로 나누어져 용어의 통일을 기할 당위성이 제기된다. 김문기, 한국고전시가의 사적 전개, 한국시가의 흐름, 고전문학강좌, 한국 고전의 세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다. 그러다가 70년대 후반 및 80년대에 들어서서야 점차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기 처음 했다.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2551_01_.jpg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2551_02_.jpg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2551_03_.jpg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2551_04_.jpg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2551_05_.jpg


.
김교봉은 「근대 전환기 시가의 전개 양상」에서 근대 전환기 시가는 근세 시가의 특징과 근


다음, ‘전환기 시가’라는 용어는 90년대 이후부터 김문기, 김교봉, 등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환기 시가’를 잡는 시점이 학자마다 다르며 포함시키는 장르명칭도 달라서 그 시점과 장르명칭을 통일하는 것도 앞으로 논의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개화기 시가’는 개항과 함께 밀려드는 서구사상과 문물제도의 도입으로 빚어진 新舊의 갈등적 상황 속에서 형성된 시가인데 70년대 후반 및 80년대에 들어서면서 몇몇 영인 전문 출판사에 의해 개화기 시가data(자료)의 영인 출판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이에 관한 논문도 여러 편이 발표되었으며, 이를 지칭 용어로 채택하여 전문으로 연구한 학위논문 및 저서도 적지 않게 출판되었다.
김학동의 『한국개화기시가연구』 김학동, 『한국개화기시가연구』, 시문학사, 1981.
김영철은 「개화기 시가 장르의 형성과정 연구」 김영철, 「한국개화기 시가장르의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6.

Download :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hwp( 51 )


먼저 ‘개화기 시가’라는 용어는 김학동, 김용직, 김영철 등이 쓰고 있다


김용직은 『한국 근대시사』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새문사, 1983.


는 이 분야에 관한 최초의 전문적인 서적으로 개화기 시가의 각 장르들을 분류하여 취급하고 있으며, 그 내용과 형성시기의 연구에 있어서 포괄적이라 할 수 있다
.
전환기 시가 - 동학가사 의병가사 애국가 개화가사 시조형 창가 신체시 유형의 전개
60년대와 70년대 전반에는 한국 근대 시가의 연구가 그다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단지 각종 현대문학사 책에서 개괄적으로 언급된 것들만 존재하였다.
전체 17,68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enchmar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