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13:40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hwp
2. 예학의 강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조선사회는 전 분야에서 병폐를 나타내기 처음 하였다. 따라서 집권층은 대동법과 호구 조사, 양전을 실시하여 허물어져 가는 봉건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예(禮)의 회복을 통해 봉건 질서를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기도 하였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p.170
.
레포트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보고서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보고서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다. 그 결과 이 17세기는 ‘예학의 시대’라고 불릴 정도가 되었다. 예학에 주목한다면, 조선시대 중엽에서 후기에 걸친 시기는 성리학자들에 의하여 예학이 발흥하였던 시기와 융성하였던 시기로 이어지며, 그 뒤에 그에 대한 개혁 혹은 改善(개선) 을 추구하는 새로운 경향을 띤 실학자들의 예학이 대두되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p.169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보고서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레포트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레포트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레포트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
Download : 레포트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hwp( 89 )
리포트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보고서 - 예학의 강화-김장생, 송시열의 사상
.
설명
순서
예(禮)에 관한 유학자들의 연구를 통칭하여 예학(禮學)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당시 사회를 지탱해주던 주자학이 이미 그 생명력을 상실해 감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한편 조선왕조는 일찍부터 『주자가례朱子家禮』를 보급하는 등 예를 통해 통치 기반의 강화를 꾀해 왔으며, 이 같은 바탕 위에서 이 시기에는 예에 관한 학설의 수집과 정리 및 세목화 작업이 주자학자들의 주된 관심사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바로 이점에서 이 시기에 들어서는 주자학의 예학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18세기에는 실학자들에 의하여 현행 의례와 제도에 대한 개혁의 necessity 과 그 구체적인 대안적 예시가 제시되었다. 이 시기에 이루어진 예에 관한 각종 논의와 저술이 당시 사족은 물론 조선 사
이러한 예학의 흥성은 양란 이후 흐트러진 사회 질서를 바로 잡으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지만, 사회 기반의 급속한 해체와 예학이 당쟁과 깊이 연관되면서 원래의 목적과 기능은 탈색된 채 당파와 학파 간에 극한적이고 소모적인 대립을 거듭하게 되었다. 즉 16세기 사림의 도학정치가 정착되면서 예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었고, 17세기에는 예학이 융성하면서 많은 저술이 출현한 동시에 왕실 이전의 복제를 비롯한 중요한 의전 문제들을 둘러싸고 예송(禮訟)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18세기까지 지속되어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