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마을에 위치한 관가정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4 22:15
본문
Download : 관가정-97-.hwp
(약520년전) 손소는 이 부락에 입향하여 5남 1녀를 두었는데 그중 둘째 아들인 㑖暾(1463~1529)은 호를 愚齊라 하고 사조판서와 좌우참판을 지낸바 있다 우재 선생의 여동생인 손씨 부인은 여강이씨 10세손 蕃에게 출가하여 두 아들을 낳았는데 그 장자가 당대 明儒이며 조선왕현의 한 사람인 晦薺 이언유(1491~1553)이다. 이 부락의 入鄕祖는 月城孫氏 4世 孫士晟의 次子인 襄敏公 孫昭(1433~1484)로 그가 처음 이 부락에 입향하여 현재의 월성 손씨 宗家를 건축하였다.
설명
1.머리말, 2. 양동마을의 배경과 형태, ① 양동마을의 형성배경, ② 양동마을의 형태, 3. 관가definition 배경과 명칭, ①관가definition 건축 배경, ②관가definition 뜻, 4.관가definition 진입, ①관가정으로 가는 길과 담장 그리고 대문, ②대문안 사랑채로의 진입 , ③안채로의 진입, ④사당으로의 진입, 5.관가definition 공간analysis(분석) , ①대문, ②사랑채, ③안채, ④사랑채 우측에 있는 부엌과 방, ⑤사당, 6.관가definition 특징, ①자연스러운 곡선재 사용, ②지붕선의 겹침, ③안마당의 공간감, ④마감재, 7.관가definition 전체적인 흐름, 8.맺음말 (답사후의 소감), , filesize : 23K
Download : 관가정-97-.hwp( 67 )
양동마을에 위치한 관가정에 대상으로하여
양동마을,관가정,향단,답사,공학기술,레포트
순서
1.머리말
2. 양동마을의 배경과 형태
① 양동마을의 형성배경
② 양동마을의 형태
3. 관가정의(定義) 배경과 명칭
①관가정의(定義) 건축 배경
②관가정의(定義) 뜻
4.관가정의(定義) 진입
①관가정으로 가는 길과 담장 그리고 대문
②대문안 사랑채로의 진입
③안채로의 진입
④사당으로의 진입
5.관가정의(定義) 공간分析(분석)
①대문
②사랑채
③안채
④사랑채 우측에 있는 부엌과 방
⑤사당
6.관가정의(定義) 특징
①자연스러운 곡선재 사용
②지붕선의 겹침
③안마당의 공간감
④마감재
7.관가정의(定義) 전체적인 흐름
8.맺음말 (답사후의 소감)
① 양동마을의 형성배경 양동마을은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월성군 강동면에 속하며, 경주포항간 철도 중 경주기점 16㎞지점에 위치해 있다 문헌에 의하면 신라시대에는 이곳에 牙山將氏가 거주했으며 부락명을 良佐村이라 했으나 약 550년 전에 안강현 양좌동으로 개칭했다. 그후 이 마을에서 월성손씨와 여강이씨 …(skip)






레포트/공학기술
1.머리말, 2. 양동마을의 배경과 형태, ① 양동마을의 형성배경, ② 양동마을의 형태, 3. 관가정의 배경과 명칭, ①관가정의 건축 배경, ②관가정의 뜻, 4.관가정의 진입, ①관가정으로 가는 길과 담장 그리고 대문, ②대문안 사랑채로의 진입 , ③안채로의 진입, ④사당으로의 진입, 5.관가정의 공간분석, ①대문, ②사랑채, ③안채, ④사랑채 우측에 있는 부엌과 방, ⑤사당, 6.관가정의 특징, ①자연스러운 곡선재 사용, ②지붕선의 겹침, ③안마당의 공간감, ④마감재, 7.관가정의 전체적인 흐름, 8.맺음말 (답사후의 소감), , FileSize : 23K , 양동마을에 위치한 관가정에 대해서공학기술레포트 , 양동마을 관가정 향단 답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