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3:33
본문
Download : 율곡 이이.hwp
1536년(중종 31) 음력 12월 26일에 사헌부 감찰을 지낸 이원수(李元秀)와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의 셋째 아들로 외가가 있던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났다. 후에 명종 말년부터 점차 중앙의 정치무대에 다시 진출하기 처음 하였으며, 선조가 즉위하면서 신진 사림들이 중앙의 주요 관직에 대거 등용되어 확고한 정치세력을 이루게 되었다. 1576년에 동인과 서인의 대립이 심화되자 그의 중재 노력이 실패하고 건의한 개혁안마저 묵살되자 낙향하여 본가와 처가를 오가며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저술하고 후학양성에 힘을 썼으며 향약과 사창법을 시행하였다.
Download : 율곡 이이.hwp( 56 )
율곡 이이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이다. 그동안 동호문답(東湖問答), 만언봉사(萬言封事), 성학집요(聖學輯要) 등을 지어 국정 개혁안을 왕에게 제시했다. 퇴계가 주자학자로서는 보기 드물게 심학 또는 심법이라는 용어를 종종 사용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누구보다도, 인간의 삶에 있어서 마음(공부)의 힘과 역할을 중요시 한다.
.
율곡이 살았던 16세기 조선은 을사사화(1545)가 일어난 때였다. 그러나 조선은 양반 관료 체제의 국가였으므로 양반 관료들 사이에 정권 장악을 위한 쟁투가 불가피했으며 대립 뿐만 아니라 분열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동인과 서인으로 분당되어 당쟁을 처음 하였다.
순서
율곡 이이
.
율곡 이이
퇴계에게서 수기의 내용은 경 위주의 심학 및 심법, 즉 마음의 공부이다. 1548년(명종 3) 진사시에 13세의 나이로 합격했으며, 조광조의 문인인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에게 학문을 배웠다. 정치적으로는 관리들이 무사 안일과 사리 사욕의 타성에 젖어 있었으며, 사림의 갈등과 알력이 노골화되고 동, 서 붕당으로 당쟁이 싹트기 처음 하는 때였다. 45세 때 대사간의 임명으로 복직하여 각조의 판서 등 비중있는 직책을 맡으며 평소 주장한 개혁안 실시와 동인·서인 간의 갈등 해소에 노력을 기울였다. 15세기 말~ 16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관료층 사이의 대립에 따른 사화는 신진 사림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주어 그들은 정치의 뜻을 버리고 산림에 숨어 학문 연구와 교육에 힘쓰는 경향으로 흘렀다.
2. 성학십도와 성학집요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율곡 이이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율곡 이이
율곡 이이
29세에 문과에 장원하여 중앙의 요직과 지방의 외직의 경험으로 쌓은 식견과 왕의 신임을 바탕으로 정국을 주도하는 인물이 되었다. 당시의 잦은 사화를 비롯한 정치적 갈등, 민생의 어려움은 비단 정책 및
율곡 이이
율곡 이이
.
율곡 이이





다.
율곡 이이
설명
퇴계는 모든 현실의 창조의 원천으로서의 마음의 중요성을, 당대의 일상적 삶과 정치를 체험하면서 절감했다. 이무렵 기자실기와 경연일기를 완성하고 왕에게 시무육조를 지어 바치고 십만양병설을 주장하였으나 선조의 미온적인 태도로 그의 개혁안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며 동인·서인간의 대립의 격화로 동인측에 의해 서인으로 지목되고 동인의 장악한 삼사의 핵탄으로 48세 때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다음해 서울의 대사동 집에서 별사했다. 마음은 개인과 사회, 나아가 국가적 차원의 모든 현실의 창조적 원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