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4 02:45
본문
Download :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hwp
설명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
Download :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hwp( 88 )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 ,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기타레포트 ,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
순서






한글맞춤법과띄어쓰기,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REPORT
김승민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
1.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띄어쓰기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1장 제2항에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1) 사과, 배, 귤 등이 있다
2) 회장 및 임원/시인 겸 소설가
5.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1) 그때 그곳, 좀더 큰것
2) 이말 저말, 한잎 두잎
6. 보조용언은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하되 붙여씀을 허용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띄어쓰기의 기본 단위는 단어이며, 명사와 동사와 같은 실사(實辭) 부분은 띄어 쓰고, 조사와 어미와 같은 허사(虛辭) 부분은 붙여 쓴다.
3. 단위 명사는 띄어 쓰되, 순서, 연월일, 시각을 나타낼 때, 아라비아 숫자 뒤에서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1) 의존 명사 : 것, 나위, 대로, 데, 듯, 따름, 따위, 때문, 리, 바, 뿐, 분, 수, 양, 이, 척, 체, 터
2) 의존 명사는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예) 아는 것이 힘이다/참을 수 없다/집 떠난 지 3년/두 말할 나위가 없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이거 얼마 만인가/그를 설득하는 데 며칠이 걸렸다. 특히, 의존명사는 띄어 쓰고, 조사와 특수조사는 붙여 써야 함에 주의하도록 하자.
띄어쓰기 원리
1. 조사는 앞 단어에 붙여 쓰며, 조사가 여러 개 겹칠 경우에도 붙여 쓴다.
1) 서술격조사 : 너 때문이다/책이다/꽃입니다
2) 조사의 겹침 : 춘천에서처럼만/강릉까지도/집에서만이라도
3) 어미 뒤 : 나가면서까지도/믿기는커녕
2.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어지다’, ‘-어하다’는 …(skip)
다.
1) 금 서 돈, 북어 한 쾌, 차 한 대
2) 100 원/100원, 두 시 삼십 분/두시 삼십분, 이 학년/이학년
4. 두 말을 이어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는 단어들은 띄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