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 (理論(이론), Perlman 문제해결모델, Compton and Galaway 문제해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30 13:02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hwp
반성적 사고란 인간이 외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 (이론, Perlman 문제해결모델, Compton and Galaway 문제해결모델)
문제해결모델은 1950-1960년대에 개별사회사업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1980-1980년대에는 이 모델을 가족치료분야 및 모든 사회사업방법론에 적용하였으며, 1990년대에 과업중심모델, 위기개입모델, 단기치료, 생활모델 등의 기반을 제공하면서 통합적 문제해결모델 전환되었다. (perlman의 진단이라는 concept(개념)은 치료준비가 아니라 instance(사례) 전 과정을 통해 지속 되는 것이며 기능주의와 진단주의 모두 ‘진단적 사정’이라고도 한다.
3. perlman 문제해결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 (이론(理論), Perlman 문제해결모델, Compton and Galaway 문제해결모델)
개별사회사업의 목적은 ‘치료’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定義(정의)하고 있따 즉, 현재의 위기극복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future 에도 더욱 effect적으로 문제를 다루어 나가는 방법을 습득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1955년 펄만이 진단주의 학파에서 진단적 사정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 동기와 대처능력 그리고 자원을 사정하고 진단하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理論)과 지금 현재 상황을 중시하는 이념, 자아의 기능에 의한 인간의 지속적인 변화 가능성을 원조함 과정으로 보는 기능주의 학파 이론(理論)을 절충시킨 문제해결 이론(理論)을 제시하면서 갈등은 종식되기 시작하였다. perlman은 그녀의 유명한 저서 ‘케이스워크 -문제해결과정(1957)’을 출판하였고, 시카고대학 중심의 일대 학파를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즉 , 문제해결은 구체적 서비스를 비롯하여 계획적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 (理論(이론), Perlman 문제해결모델, Compton and Galaway 문제해결모델)
통한 부부 및 부모-자녀 간의 관계 갈등 해소, 그리고 정서 문제를 가진 개인들의 치료 등에 관여한다.
.
문제해결모델은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와는 달리 시카고대학 교수 helen harris perlman이 창안한 케이스워크의 한 방법이다.
Download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hwp( 75 )
.
순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 (이론, Perlman 문제해결모델, Compton and Galaway 문제해결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 (理論(이론), Perlman 문제해결모델, Compton and Galaway 문제해결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7324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EB%AC%B8%EC%A0%9C%20%ED%95%B4%EA%B2%B0%20%EB%AA%A8%EB%8D%B8-7324_01_.jpg)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7324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EB%AC%B8%EC%A0%9C%20%ED%95%B4%EA%B2%B0%20%EB%AA%A8%EB%8D%B8-7324_02_.jpg)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7324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EB%AC%B8%EC%A0%9C%20%ED%95%B4%EA%B2%B0%20%EB%AA%A8%EB%8D%B8-7324_03_.jpg)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7324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EB%AC%B8%EC%A0%9C%20%ED%95%B4%EA%B2%B0%20%EB%AA%A8%EB%8D%B8-7324_04_.jpg)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 해결 모델-7324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EB%AC%B8%EC%A0%9C%20%ED%95%B4%EA%B2%B0%20%EB%AA%A8%EB%8D%B8-7324_05_.jpg)
결정을 필요로 하는 현실 문제에 관련되는 다른 전문가들의 유치, 개인 및 가족, 혹은 양자 공동의 면접 과정을
레포트 > 기타
또한 문제해결모델은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문제해결모델은 케이스워크 이외의 분야인 정신분석이론(理論), 자아심리이론(理論), 인지이론(理論), 실용주의철학, 역할이론(理論), 행동주의이론(理論), 의사소통의론, 체계이론(理論), 생태학이론(理論), 文化(문화)인류학의 이론(理論)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케이스워크 분야에서는 진단주의나 기능주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어 절충주의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따
2. 문제해결모델
문제해결은 사회사업 실천의 어떤 양상에서나 존재한다.)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