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09:30
본문
Download :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hwp
설화는 구전된다는 특징으로 말미암아 보존(保存)과 전달(傳達) 상태가 가변적(可變的)이다. 심지어는 같은 사람이 같은 유형의 이야기를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이야기된다 이 때 각각 다르게 이야기되는 이야기 하나하나를 각
Ⅰ. 머리말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2. 설화의 갈래
4. 설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향
1. 설화의 definition 및 특징 장덕순 외(1971),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5~16쪽.
3. 설화 문학의 교육적 의의
.
설화를 글자의 뜻에 따라 쉽게 말하면 ‘이야기’이다.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기에 일상의 신변 잡담(身邊雜談)이나 history적 사실을 전하는 이야기는 설화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속에는 민족의 history․신앙․관습․세계관 및 꿈과 낭만, 웃음과 재치, 또는 생활을 통해서 얻는 교훈이나 역경을 이겨내는 슬기와 용기 등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Ⅳ. 맺음말
5. 설화 작품 선정
Ⅱ. theory(이론)적 배경
Download :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hwp( 66 )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





6. 교수․학습 모형 선정
‘용소와 며느리바위’ 수업 절차 개요
순서
첫째, 설화는 구전(口傳)된다 설화의 구전은 일정한 몸짓이나 창곡(唱曲)과 관계없이 보통의 말로써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이야기의 구조에 힘입어 가능하게 된다 설화의 구전은 구절구절을 완전히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核心이 되는 구조를 기억하고, 이에 화자 나름의 수식을 덧보태서 이루어진다.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목 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1. 설화의 개념 및 특징 2. 설화의 갈래 3. 설화 문학의 교육적 의의 4. 설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향 5. 설화 작품 선정 6. 교수․학습 모형 선정 Ⅲ.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변형한 ‘용소와 며느리바위’ 수업 절차 개요 Ⅳ. 맺음말
Ⅱ. 理論(이론)적 배경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 변형한 설화 용소와 며느리바위 교수 학습 방법 연구
설명
Ⅲ.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변형한
<목 차>
설화가 무엇인지를 좀더 소상하게 알기 위하여 설화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설화의 definition 과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설화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CIRC와 탐구학습모형을 복합․변형하여 적용한 ‘용소와 며느리바위’의 수업 절차를 설계해 보고자 한다.
다. 설화는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민족적 집단의 공동생활 속에서 공동체 의식에 의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문자(文字) 기술(記述) 이전의 구전문학(口傳文學)으로,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다.
1. 설화의 개념(槪念) 및 특징
설화는 우리 조상들이 생활 속에서 향유해 온 문학이다. 설화 중에는 사실을 가장하는 이야기가 많이 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사실이 아닌 사실적인 이야기이다. 설화는 구전에 적합하도록 단순하면서도 잘 짜여진 구조를 지니며, 표현 역시 복잡하지 않다. 그 속에는 우리 조상들의 꿈과 낭만, 웃음과 재치, 또는 생활을 통해서 얻은 교훈이나 역경을 이겨내는 슬기와 용기 등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설화는 사실 여부보다는 문학적인 흥미와 교훈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무 이야기나 다 설화라고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uture(미래)를 이어 갈 2세들을 가르치는 교육 현장에서 설화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러므로 한 유형(類型, type)의 이야기일지라도 사람에 따라 그 내용이 조금씩 다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