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이데올로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9:50
본문
Download : 소설과 이데올로기.hwp
⇒ culture와 이데올로기와의 관계는 “culture적 규범이나 가치가 한 사회의 공통분모인데 반해, 특정 이데올로기의 규범과 가치는 헤르만 브로흐식의 의미의 부분체계를 형성한다”라고 이야기함.
.
⑤ 체계적으로 왜곡된 의사소통
.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⑬ 언어적
이데올로기 종언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거대이데올로기들에만
⑫ 행동지향적 신념체계
① 사회생활에서 의미, 기호, 가치의 생산과정
소설과 이데올로기
(p.208)
[1980년대 - 이데올로기] 가 주요용어가 되었다라고 요점.
* 페터지마 : <이데올로기와 theory >에서 이데올로기란 말이 경멸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부정하지 않음. 사회과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됨으로 기본의미가 모호해지고, 정치가들이 당략적인 차원에서 오용됨과 사회과학자들 사이에서의 무분별한 용어사용이 이데올로기 혼란의 원인으로 지적
Download : 소설과 이데올로기.hwp( 45 )
소설과 이데올로기
③ 지배적 정치권력을 정당화하게끔 도와주는 사고
소설과 이데올로기



② 환상적 믿음의 체계(a system of illusory beliefs)
소설과 이데올로기 소설과 이데올로기 소설과 이데올로기 소설과 이데올로기 소설과 이데올로기 소설과 이데올로기
⑧ 정체성 사고
다.순서
* 페터지마 : 이데올로기는 어떤 형태로든지 남아 있는 것이라는 인식에서 출발.
소설과 이데올로기
소설과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의 槪念] (p.211)
⑥ 주체에 위치를 부여하는 것
① 특정 집단이나 계급의 신념체계(the belief system)
* 레이먼드 윌리엄스
소설과 이데올로기
⑦ 사회적 이해관계에 의해 동기화되는 사고형태
⇒ 조직화된 신념(organized beliefs) 이라는 뜻을 유지하는 한, 이러한 신념체계야 말로 모든 culture적 생산의 진정한 원천이라고 추측하는 일이 빈번해 질 것.
소설과 이데올로기
.
* 테리 이글턴 : 이데올로기 단어의 복잡성을 인정 “이데올로기란 단어는, 말하자면 상이한 槪念적 실타래의 모든 섬유로 짜여진 텍스트” 라고 이야기함.
소설과 이데올로기
④ 지배적 정치권력을 정당화하게끔 도와주는 잘못된 사고
* 다니엘 벨 : <이데올로기의 종언>에서 이데올로기의 종말이라는 말은 보편화되고, 소련과 동유럽의 붕괴로 인해 냉전체제는 끝났으며, 냉전시대의 종언은 이데올로기의 종언을 뜻하는 것.
⑨ 사회적으로 필요한 환영
③ 기호체계 또는 기호학적 체계
소설과 이데올로기
└② 기호학적 면 : 언어, 광고, 프로파간다, theory
* 레너드 데이비스 : 서양에서는 [1960대 - 구조주의] [1970년대 - 해체(deconstruction)]
⑩ 담론과 권력의 결합
⑪ 의식적 사회행위자들이 그들의 세계를 파악하는 매체
┌① 사회학적 면 : culture, 종교, 신화, 세계관
② 특정 사회집단이나 계급 특유의 관념
관심을 집중시키고, 소이데올로기들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