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의 저장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9 01:37
본문
Download : 채소.hwp
4. CA 이론(理論)
Download : 채소.hwp( 22 )
1) CA의 effect
4. CA 이론(理論)
4. 고추 8. 생강
5. 저장력에 影響(영향)을 미치는 저장 전 요인
3. 저온 이론(理論)
Ⅲ. 채소의 저장
① 생리대사율의 저하
․「무공해 건강 야채 쉽게 기르기」 권영한 저, 전원 문화사
CA theory 국내 저장 기술의방향 저장의결과 저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저장 전 요인 / 「원예 생산물 저장 - 수확 후 관리기술의 실제」 박윤문, 이승구 저, 농민신문사
․「고소득 채소시설 재배」 유철성 저, 오성출판사
1. 단기 보관
Ⅱ. 갖가지 저장 방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Ⅰ. 저장의 이론(理論)적 배경
CA란 controlled atmosphere의 약자로서 저장 기술에 있어서는 기존의 저온 저장 방식에 인위적으로 저장고 내 가스 농도의 조성을 變化시키는 기술을 추가하여 저장 기간을 연장하는 방식이다. 반면 CA 저장과 유사한 槪念으로 사용되는 MA (modified atmosphere) 저장의 경우 인위적인 가스 농도 조절 없이 생산물의 호흡과 밀봉 재료에 따라 자연적으로 가스 농도가 變化함을 이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2. 마늘 6. 배추
2. 보통 저장(상온저장)
Ⅳ. 참 고 문 헌
CA 이론 국내 저장 기술의방향 저장의효과 저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저장 전 요인
․「가정원예 백과 10 - 채소, 허브」 최영전, 한인송, 이종성 외 편저, 아카데미아
순서
다. 산소 농도의 경우 저장고 내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호흡 속도는 감소하나 산소 농도가 어느 수준 이하로 되면
4. CA 저장 방식
1. 저장은 왜 하는가?
(저장법)
설명
3. 감자 7. 양배추
CA 저장과 관련된 가장 최초의 연구는 프랑스 사람인 Beard의 실험(1821)을 들 수 있다아 Beard는 유리 용기에 과일과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넣고 밀봉하여 저장함으로써 과일의 품질이 오래 유지되며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과일이 정상적으로 숙성되지 못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CA 이론 국내 저장 기술의방향 저장의효과 저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저장 전 요인 / 「원예 생산물 저장 - 수확 후 관리기술의 실제」 박윤문, 이승구 저, 농민신문사 ․「무공해 건강 야채 쉽게 기르기」 권영한 저, 전원 문화사 ․「가정원예 백과 10 - 채소, 허브」 최영전, 한인송, 이종성 외 편저, 아카데미아 ․「고소득 채소시설 재배」 유철성 저, 오성출판사 (저장법)
1. 양파 5. 당근
5. MA 저장 방식
채소의 저장방법
이후 이와 유사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식물의 생리적 현상에 이론(理論)적 기반을 둔 CA 방식은 1918년 영국의 Kidd가 수행했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종자의 호흡 속도에 미치는 影響(영향)을 밝히고자 수행한 실험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여진다. 국내에서는 CA나 MA의 구분을 두지 않고 環境조절 저장이라고 불리고 있다아
6. 국내 저장 기술의 방향
6. 감압 저장
3. 냉장 저장
2. 저장의 effect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와 낮은 농도의 산소 조건에서는 식물의 호흡 속도가 감소하고 에틸렌 발생량도 줄어든다. CA 저장은 밀폐된 공간 내의 가스 조성을 기계나 화학적 방식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정밀하게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