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15 01:03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hwp
뿐만아니라 여기에 악장과 춤이 반드시 따르는 악, 가, 무 총체의 음악으로서 동양에서는 일찍부터 가장 이상적인 음악으로 인식되어 왔다. 전기는 향가와 화랑의 전통, 팔관회와 연등회 등 통일신라의 유풍이 강하게 전승되는 한편, china(중국) 으로 부터 아악이 전래되어 향악, 당악, 아악의 전통이 정립되었다. 무용 반주를 위한 삼현 육각의 악기 편성도 이때에 생겨난 것이다. 당악정재(唐樂呈才)는 방향?비파?생?당적?피리?장구?박 등이 당악기 반주 및 순한문으로 된 송사(宋詞)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당악의 key point(핵심) 을 이룬다. 당악은 악기나 춤에 있어서도 당악기?향악기 및 당악정재?향악정재라는 구분이 생겨나게 된다된다.
고려시대,국악,발전사,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
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
Download : 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hwp( 69 )
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 , 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인문사회레포트 , 고려시대 국악 발전사
순서
고려시대의 국악 발전사
1. 들어가며
고려시대의 음악사는 의종 말년(1170)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는 고려조는 불교를 숭상하여 불교적인 행사의 影響(영향)을 받은 것이 많고, 전통적인 무격의식과 관련되어 면면히 이어온 것도 있따 고려 시대에는 팔관회와 연등회 같은 불교 행사의 끝에 `악?가?무`의 민간 행사가 있었다.
2. 향악(鄕樂)
당나라 음악이 들어오기 이전의 우리 나라 음악으로, 사모곡?서경별곡?한림별곡 등의 고려 속악이 있었으며, 악기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현(가야금?거문고?비파)과 삼죽(대금?중금?소금), 그 밖에 장구?피리?박 등의 악기가 있었다. 송나라에서 들어온 교방악(敎坊樂)?사악(詞樂)과 원나…(투비컨티뉴드 )
다.
3. 당악(唐樂)
당?송?원나라 음악을 합친 것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는 곡으로는 낙양춘?보허자 뿐이며, 이 두 곡도 모두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향악화 되었다. 또 당악이 들어오면서 향악이라는 遁명칭이 생겼으며, 예종 때에는 송나라로부터 아악이 수입되어 향악?당악?아악이 구분되기도 하였다. 종묘 사직 등 국가의 중요한 제사에 사용된 china(중국) 고대의 의식음악인 아악은 금?석?사?죽?포?토?혁?목의 팔음(八音)악기를 당상악(堂上樂;登歌)과 당하악(堂下樂;架)으로 구분 배치하여 율려(律呂)에 맞게 교대연주하는 독특한 음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