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12:15
본문
Download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hwp
당손이 할아버지는 다른 소작인들과는 달리 외부 현실의 혼란에도 흔들리지 않고, 꿋꿋하게 인간의 본직적인 가치를 옹호하고 몸소 지켜나가는 전통적 인간형의 표본이다. 결국 그는 자신의 이러한 생각을 끝까지 지켜나가며, 마지막까지 지주인 박훈을 대하는 태도를 통해 현실에 대한 저항적 태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자신의 가치관과 위배되는 현실 앞에서 굽히지 않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은 현실에 저항하는 면모를 보여준다. 그는 자신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일에 관련되어는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나서서 이야기하나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견해 에 다른 사람들이 찬동해주길 바라지는 않는다.
「카인의 후예」의 인물들은 토지 개혁이라는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 가를 통해 분류된다된다. 그는 토지개혁을 사람들 간의 인정과 의리를 없애는 것으로서 부정적으로 생각한다.
“하긴 흥수 그놈이 나뿐 놈이디. 어린앨 돈으로 나꿔개지구 그런 즛을 하게 맹그는··· ··· 그르나 남
“노인동무는 왜 아까부터 손 한번 안 드오?”
“난 아무것두 모르우.” (252쪽)
당손이 할아버지였다.
“어디 봅시다. 당손이 할아버지는 다시 언성에 노기를 띠며,
왔소?”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
.
“난 아무것두 모르우.”
“난 아무것두 모르우.”
“왜 동무는 아직두 그 노예 근성을 못 버리는 거요?”


그런 그에게 토지 개혁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가치에 반하는 일이다. 그 중 현실 저항적 인물 유형으로는 오작녀, 당손이 할아버지, 혁, 윤주사, 용제영감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사실상 누군가를 선동하고 앞장서서 현실 개혁적 의지를 드러내지는 않는다. 다만 남들의 위협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태도를 지켜나가는 곧은 성품의 인물인 것이다. 그렇기에 토지개혁으로 변해가는 사람들을 안타깝게 여기고, 자신만은 이에 동조하지 않으며 시대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인간의 기본적 도리를 지키려 한다. 지주를 숙청하기 위해 모인 자리에서 사람들은 지주 숙청의 당위성을 내세우기보다는 서로의 눈치를 보고, 공작 대원에게 잘 못 보여 자신에게 불이익이 있을까 두려워하며 그들의 견해 에 무조건적으로 동조한다.
설명
.
순서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청년이 당손이 할아버지의 손을 덥썩 잡아 펴보더니,
Download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hwp( 47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모여선 사람들의 뒤쪽 가장자리를 돌고 있던 공작대원 하나가 노기 띤 언성으로 소리 질렀다. 손 좀 내미오!”
위의 글은 공작 대원과 당손이 할아버지의 대화이다. 이런 태도를 결국 자신의 가치관과 위배되는 사회 현실에 대한 저항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당손이 할아버지는 그 자리에 가긴 갔지만 자신의 가치관과 위배되는 무조건적인 선동에 참여하지 않는다.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민주개혁에 무슨 불평이라도 품구 있소?”
“동무두 이르케 손바닥에 못이 백이게 놈들에게 착취를 당하지 않았소? 왜 쟁기두 하나 안 들구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저항성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