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08:03
본문
Download :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hwp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1. 평시조의 형식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조윤제는 『조선시가의 연구』에서 “一首의 字數 四四 혹은 四五에 중심을 두고 41자에서 50자 범위 내에 三四四(三)四, 三四四(三)四, 三五四三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규정이 最短字數에서 最長字數 內에 伸縮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제시하여 차이점을 알아볼 것이다. 사설시조라는 것은 평시조라는 concept(개념)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능우, 『국문학개론』, 일지사, 1961년, 115쪽.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Download :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hwp( 22 )
Ⅰ. 서론
1. 從來의 시조형식 연구
Ⅱ. 본론
Ⅱ. 본론
.
사설시조는 전통시의 한 양식이다. 그리고 시조를 구분할 때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로 나누는 3분법과 평시조와 사설시조로만 나누는 2분법이 있는데, 어느 쪽이 더 타당한가를 살펴볼 것이다.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1.3. 사설시조의 형식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2. 문제제기 및 해결measure(방안) 제시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설시조의 형식 - 평시조, 엇시조의 형식과 비교를 통하여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從來의 시조형식 연구 1.1. 평시조의 형식 1.2. 엇시조의 형식 1.3. 사설시조의 형식 2. 문제제기 및 해결방안 제시 2.1. 시조의 분류상의 문제 2.2. 시조의 명칭상의 문제 Ⅲ. 결론
1. 從來의 시조형식 연구
사설시조의 형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평시조의 형식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능우는 『국문학개론』에서 “평시조는 초장 초구 종구, 중장 종구가 6자내지 8자요, 중장 초구, 종장 二구가 5자 내지 8자요, 종장초구는 3자, 三구는 4자 또는 5자, 종구는 3자 혹은 2자나 4자다. 조윤제, 『국문학개론』, 동국문화사, 1955년, 12쪽.
설명
2.1. 시조의 분류상의 문제
2.2. 시조의 명칭상의 문제
- 목 차 -
다. 1.1. 평시조의 형식
Ⅲ. conclusion
.
.
순서
먼저 사설시조의 형식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평시조와 엇시조의 형식과의 비교를 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쟁점을 살펴보는 것은 나아가 사설시조의 형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서민문학으로서의 여러 특성(特性)을 지니고 있어 시조사적으로나 시적 본질의 면에서 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그간의 논의들은 대개 부분적이고 단편적이어서 부족한 점이 많았다. 그리고 8자가 혹 9자, 혹 9자가 혹 10자 되는 것도 있으나, 이는 例外고 다만 초장 초구의 6자에 二二調나 二四調요, 二三調는 없다”고 하였다.
1.2. 엇시조의 형식
그러므로 본고는 사설시조의 형식에 관한 기존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제시하여 검토하여보고 아직까지도 논란거리로 남아있는 쟁점들을 고찰하여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주장이나 theory(이론)을 내세우기보다는 기존의 쟁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체계화된 theory(이론)을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를 단형시조, 중형시조, 장형시조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어떤 견해를 따라야 할지의 문제에 대상으로하여도 살펴볼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제시하여 평시조의 형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