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인본주의_이론(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6 10:05
본문
Download : 인본주의_이론.hwp
즉 전문가로서 권위자인 상담자와 단순히 상담자의 지시를 따르는 수동적인 내담자의 역할을 거부한다.
설명
Rogers(1977)에 의하면 치료적 초점은 현재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그 자체이며,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성장과정을 원조함으로써 그가 현재 대처하고 있는 그리고 未來에 대처하게 될 문제들에 대해 보다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⑦ 환경, 특히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개인의 자기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현상의 장은 개인에게는 `현실`이다.
• 인간의 복지에 대한 배려를 한다. 이러한 개인의 세계는 유기체에 의해 경험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 치료자는 내담자가 a fully functioning person(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도록 생산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치료의 기본 goal(목표) 가 된다된다. ② 유기체는 경험되고 지각되는 장에 대하여 반응한다.
• 사고와 행동에 자발성이 있다.
Rogers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치료를 받으러 온다고 하였다.
• 자기중심적이기보다는 문제 중심적이다.
이와 같은 긍정적 인간관은 상담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 개인의 세계의 중요한 진실은 개인 그 자신에게만 알려진다는 것이다.
• 매우 독창적이다. 로저스는 바로 이러한 것이 행복한 삶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현상의 장은 개인에게는 `현실`이다.
1. 기본개념 로저스는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⑥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은 그 개인 자체의 내적 참조의 틀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Rogers(1957)는 내담자가 자신의 내적 준거틀을 정확히 이해하게 함으로써, 내담자의 내적 및 환경 내에서 긍정적인 행동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치료goal(목표) 를 두고있다. 내담자-중심 접근에서 가정하고 있는 인간관은 다음과 같다(Rogers, 1951). ① 모든 인간은 자신이 중심이 되어 있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경험의 장에서 존재하고 있다.
- 치료자는 상호신뢰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내담자가 거리낌없이 자기 자신을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내면세계(감정, 욕망 및 가치판단 등)를 이해하고, 자신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⑤ 이런 행동에는 정서가 수반되며 그 정서의 강도는 유기체를 유지하려는 행동의 지각된 중요성과 관련이 된다.
⑦ 環境, 특히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개인의 자기 구조가 형성된다
• 객관적 관점에서 생활을 볼 수 있다.
⑨ 심리적 부적응이란 유기체가 중요한 자신의 감각적 경험들을 수용하지 못하고, 결국 이를 자기 구조의 틀 속에 상징화, 조직화 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로저스는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따 그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선하고, 진실 되며, 이성적이라는 사실을 굳게 믿었다.
`나는 어떻게 자신의 현실적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가?`
• 생활의 기본적 경험을 깊이 음미할 수 있다.
⑥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은 그 개인 자체의 내적 참조의 틀을 이해하는 것이다. . 인본주의 경향의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충분히 그리고 진정으로 살아가도록 변화하고, 이런 삶은 끊임없는 노력을 요구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전한다.
3. property(특성)
[중요] 인본주의_이론(理論)
⑧ 유기체에 의해서 적용되는 행동의 대부분 방식은 자기의 槪念과 일치한다. 또한 그는 행복한 삶이라는 결과보다는 그 과정을 강조하였고 인생이란 끊임없는 과정으로 보았다.
2. 치료목적
⑤ 이런 행동에는 정서가 수반되며 그 정서의 강도는 유기체를 유지하려는 행동의 지각된 중요성과 관련이 된다
순서
`나는 어떻게 내면적인 나를 찾아 나 자신이 될 수 있는가?`
• 현실을 효율적으로 지각하고 불확실감을 참아낼 수 있다. 로저스는 사람은 자기 지시에 따라 행동할 수 있으며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③ 유기체는 현상의 장에서 조직된 전체로서 reaction response한다. ⑧ 유기체에 의해서 적용되는 행동의 대부분 방식은 자기의 개념과 일치한다. 유기체는 자기를 실현하고 경험하는 자기 자신을 고양하고 유지하려는 기본적인 욕구를 지니고 있다. 자신의 유기체적 가치 체계와 과정에 의해서 자율적인 생을 살고 자신의 자유를 수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이라는 과정 속에 생산적으로 뛰어들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행복한 삶이라는 결과보다는 그 과정을 강조하였고 人生(life)이란 끊임없는 과정으로 보았다. 상담은 단순히 규준에 適應(적응)하는 것 이상이므로 단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은 아닐것이다. 로저스는 바로 이러한 것이 행복한 삶이라고 보았다.
`나는 어떻게 해야 내가 간절히 되고 싶어 하는 존재가 될 수 있는가?`
• 몇몇 사람들과의 깊고 만족스런 대인관계를 수립한다. 그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선하고, 진실 되며, 이성적이라는 사실을 굳게 믿었다. 자신의 유기체적 가치 체계와 과정에 의해서 자율적인 생을 살고 자신의 자유를 수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이라는 과정 속에 생산적으로 뛰어들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통하여 내담자가 다른 사람들과의 세계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어떻게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그리고 성장을 방해하는 장애물들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대처하는지가 강조된다된다. 로저스는 사람은 자기 지시에 따라 행동할 수 있으며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 이러한 관계 속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환경에 대한 왜곡된 지각을 수정하고, 현실적 경험가 자아관념간의 조화를 이룩하며,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능력과 개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아실현을 촉진하게 된다된다.
• 자기 자신과 타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유기체는 자기를 실현하고 경험하는 자기 자신을 고양하고 유지하려는 기본적인 욕구를 지니고 있따
레포트 > 기타
• 의도적으로 비관습적이 되려는 것은 아니지만, 속물이 되는 데 저항한다.
1. 기본槪念
인본, 주의, 이론
Download : 인본주의_이론.hwp( 35 )
① 모든 인간은 자신이 중심이 되어 있는 끊임없이 變化하는 경험의 장에서 존재하고 있따 이러한 개인의 세계는 유기체에 의해 경험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사람은 부適應(적응) 상태에서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향할 수 있는 타고난 능력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우선적으로 책임을 지우게 된다된다. 개인의 세계의 중요한 진실은 개인 그 자신에게만 알려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담은 내담자의 결정 능력에 근거를 두게 된다된다. ④ 인간의 행동은 현상의 장 속에서 경험되는 유기체의 욕구를 만족시키려는 목적 지향적인 것이다.
④ 인간의 행동은 현상의 장 속에서 경험되는 유기체의 욕구를 만족시키려는 목적 지향적인 것이다. ⑨ 심리적 부적응이란 유기체가 중요한 자신의 감각적 경험들을 수용하지 못하고, 결국 이를 자기 구조의 틀 속에 상징화, 조직화 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내담자-중심 접근에서 가정하고 있는 인간관은 다음과 같다(Rogers, 1951).
② 유기체는 경험되고 지각되는 장에 대하여 reaction response한다. ③ 유기체는 현상의 장에서 조직된 전체로서 반응한다.




• 좋은 유머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