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理論(이론) - 기대理論(이론)(브룸의 기대理論(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理論(이론), 아담스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8 22:25
본문
Download :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기대이론(브룸의 기대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이론, 아담스의 공정성이론).hwp
즉, 기대 theory 은 1960년대 중반에 브룸에 의해 처음 되었고 포터-로울러(L. W. Porter & E. E. Lawler)등에 의해 1970년대 초반에 확대 보급되고 정교화 되어 그 어느 theory 보다도 동기부여에 관한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다른 theory 들을 통합해 주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기대theory 의 theory 적 구성에 기여한 주요 theory 을 어떠한 것으로 집약시킬 것인가에 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견해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기대theory 과 관련된 연구
왜냐하면 위의 표에서 제시 되고 있는 바와 같이 기대 theory 과 유사한 定義(정의) 을 사용하고 있는 연구내용들...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theory - 기대theory (브룸의 기대theory ,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theory , 아담스의 공정성theory )
목차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theory - 기대theory
Ⅰ. 브룸의 기대theory
Ⅱ.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theory
Ⅲ. 아담스의 공정성theory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theory - 기대theory
기대theory (expectancy theory)은 오랜 심리학사를 배경으로 하여 종합개발 및 검토 分析(분석)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 theory 으로서 톨먼(E. C. Tolman)의 인지(cognition)에 바탕을 둔 기대와 레원(K. Lewin)의 유인성(valence)과 힘(force)등의 定義(정의) 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理論(이론) - 기대理論(이론)(브룸의 기대理論(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理論(이론), 아담스의 공정성理論(이론))
%EC%9D%98%20%EA%B3%BC%EC%A0%95%EC%9D%B4%EB%A1%A0%20-%20%EA%B8%B0%EB%8C%80%EC%9D%B4%EB%A1%A0(%EB%B8%8C%EB%A3%B8%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D%8F%AC%ED%84%B0%EC%99%80%20%EB%A1%9C%EC%9A%B8%EB%9F%AC%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C%95%84%EB%8B%B4%EC%8A%A4%EC%9D%98%20%EA%B3%B5%EC%A0%95%EC%84%B1%EC%9D%B4%EB%A1%A0)_hwp_01.gif)
%EC%9D%98%20%EA%B3%BC%EC%A0%95%EC%9D%B4%EB%A1%A0%20-%20%EA%B8%B0%EB%8C%80%EC%9D%B4%EB%A1%A0(%EB%B8%8C%EB%A3%B8%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D%8F%AC%ED%84%B0%EC%99%80%20%EB%A1%9C%EC%9A%B8%EB%9F%AC%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C%95%84%EB%8B%B4%EC%8A%A4%EC%9D%98%20%EA%B3%B5%EC%A0%95%EC%84%B1%EC%9D%B4%EB%A1%A0)_hwp_02.gif)
%EC%9D%98%20%EA%B3%BC%EC%A0%95%EC%9D%B4%EB%A1%A0%20-%20%EA%B8%B0%EB%8C%80%EC%9D%B4%EB%A1%A0(%EB%B8%8C%EB%A3%B8%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D%8F%AC%ED%84%B0%EC%99%80%20%EB%A1%9C%EC%9A%B8%EB%9F%AC%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C%95%84%EB%8B%B4%EC%8A%A4%EC%9D%98%20%EA%B3%B5%EC%A0%95%EC%84%B1%EC%9D%B4%EB%A1%A0)_hwp_03.gif)
%EC%9D%98%20%EA%B3%BC%EC%A0%95%EC%9D%B4%EB%A1%A0%20-%20%EA%B8%B0%EB%8C%80%EC%9D%B4%EB%A1%A0(%EB%B8%8C%EB%A3%B8%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D%8F%AC%ED%84%B0%EC%99%80%20%EB%A1%9C%EC%9A%B8%EB%9F%AC%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C%95%84%EB%8B%B4%EC%8A%A4%EC%9D%98%20%EA%B3%B5%EC%A0%95%EC%84%B1%EC%9D%B4%EB%A1%A0)_hwp_04.gif)
%EC%9D%98%20%EA%B3%BC%EC%A0%95%EC%9D%B4%EB%A1%A0%20-%20%EA%B8%B0%EB%8C%80%EC%9D%B4%EB%A1%A0(%EB%B8%8C%EB%A3%B8%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D%8F%AC%ED%84%B0%EC%99%80%20%EB%A1%9C%EC%9A%B8%EB%9F%AC%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C%95%84%EB%8B%B4%EC%8A%A4%EC%9D%98%20%EA%B3%B5%EC%A0%95%EC%84%B1%EC%9D%B4%EB%A1%A0)_hwp_05.gif)
%EC%9D%98%20%EA%B3%BC%EC%A0%95%EC%9D%B4%EB%A1%A0%20-%20%EA%B8%B0%EB%8C%80%EC%9D%B4%EB%A1%A0(%EB%B8%8C%EB%A3%B8%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D%8F%AC%ED%84%B0%EC%99%80%20%EB%A1%9C%EC%9A%B8%EB%9F%AC%EC%9D%98%20%EA%B8%B0%EB%8C%80%EC%9D%B4%EB%A1%A0,%20%EC%95%84%EB%8B%B4%EC%8A%A4%EC%9D%98%20%EA%B3%B5%EC%A0%95%EC%84%B1%EC%9D%B4%EB%A1%A0)_hwp_06.gif)
레포트/기타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기대이론(브룸의 기대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이론,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기대이론(브룸의 기대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이론, 아담스의 공정성이론)기타레포트 , 모티베이션 동기부여 과정이론 기대이론 브룸 기대이론 포터와 로울러 기대이론 아담스 공정성이론
순서
모티베이션,동기부여,과정이론,기대이론,브룸,기대이론,포터와,로울러,기대이론,아담스,공정성이론,기타,레포트
설명
Download :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기대이론(브룸의 기대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이론, 아담스의 공정성이론).hwp( 73 )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理論(이론) - 기대理論(이론)(브룸의 기대理論(이론),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理論(이론), 아담스의 공정성理論(이론))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theory - 기대theory (브룸의 기대theory ,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theory , 아담스의 공정성theory )
목차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theory - 기대theory
Ⅰ. 브룸의 기대theory
Ⅱ. 포터와 로울러의 기대theory
Ⅲ. 아담스의 공정성theory
모티베이션(동기부여)의 과정theory - 기대theory
기대theory (expectancy theory)은 오랜 심리학사를 배경으로 하여 종합개발 및 검토 分析(분석)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 theory 으로서 톨먼(E. C. Tolman)의 인지(cognition)에 바탕을 둔 기대와 레원(K. Lewin)의 유인성(valence)과 힘(force)등의 定義(정의) 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기대theory 의 theory 적 구성에 기여한 주요 theory 을 어떠한 것으로 집약시킬 것인가에 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견해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기대theory 과 관련된 연구
왜냐하면 위의 표에서 제시 되고 있는 바와 같이 기대 theory 과 유사한 定義(정의) 을 사용하고 있는 연구내용들이 많이 있을 뿐 아니라 그 외 에도 다양한 연구가 기대 theory 의 맥락 속에서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기대 theory 의 주장들 중에서 모티베이션을 직무상황과 연관시킬 목적으로 theory 을 전개한 학자는 브룸(V. H. Vroom)이 처음이다. 많은 논자들은 기대 theory 을 이들 두 사람의 theory 으로 구분하여 설명(說明)하고 있다
(1) 브룸의 기대theory
브룸은 1차 및 2차 수준 결과(first and second level outcome) 유의성(valence) 도구성(instrumentality) 및 기대(expectancy), 힘(force), 능력(ability)등의 定義(정의) 을 가지고 모티베이션theory 을 모…(skip)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