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를 다녀와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6 10:50
본문
Download : 강화도를 다녀와서_3217092.hwp
가는 길에 탱자나무가 있었는데 이 탱자나무는 가시가 많아서 적의 침투를 막는데 결과 적인 역할을 하여 이렇게 해변에 많이 심었다고 했다. 탱자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방한계선을 나타내서 그렇다는 것 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방어선인 보와 진들이 있는데 이는 강화도의 strategy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했다. 박물관을 본 뒤 갑곶돈대로 갔다.
Download : 강화도를 다녀와서_3217092.hwp( 61 )
강화도를 다녀와서 작성한 기행문 입니다. 돈대는 강화도의 해안선에 축조되어 있는 진지들로 총 53개가 있다고 했다.
강화도를 다녀와서
강화도를 다녀와서
그리고 그것도 현대에 들어와서 간척사업을 한 것이 아니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때부터 행해진 것이라 하니 ‘참으로 우리나라 간척사업의 역싸도 상당히 길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나중에 알았는데 이 탱자나무는 천연기념물이라고 한다. 내가 생각해 보아도 이정도 공을 들여서 방어망들을 구축한 것을 보면 강화도가 strategy적으로 매우 중요하기는 했던 것 같다.기행문 , 강화도를 다녀와서기타레포트 ,
강화도를 다녀와서 작성한 기행문 입니다. 아무튼 탱자나무는 마…(생략(省略))
기행문
순서



레포트/기타
설명
,기타,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