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와 코이노니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1 18:04
본문
Download : 교회와 코이노니아_1112622.hwp
한국교회가 지금까지 이룬 이 값비싼 부흥을 헛되이 돌리지 않기 위해서, 그리고 더 큰 하나님 나라의 비젼을 가지고 전진하기 위해서 교회는 옷을 갈아 입어야만 한다
교회와 코이노니아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교회와 코이노니아_1112622.hwp( 57 )
38322 , 교회와 코이노니아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38322
설명






다.
숫자상으로는 아직도 기독교가 가장 막강한 종교이다. 이 통계에 의하면 1970년 한 해 동안 유럽에서만 1백 81만 5천 1백 명의 성인 기독교인들이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고 불가지론자, 무신론자, 혹은 타종교나 이단종교의 추종자가 되었다고 한다. 왜 이렇게 되었는가? 서구 기독교가 예수 그리스도의 공동체성을 무시해 왔기 때문이다
현대 한국교회는 세계적으로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폭발적인 성장, 제일 큰 교회들, 가장 열성적인 신자 등 많은 찬사와 격려가 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오늘날 한국교회를 걱정하거나 비판하는 소리를 자주 들을 수 있다 `교회가 마치 천국행 티켓을 팔고 비행기편이 마련될 동안 먹고 마시며 즐길 수 있는 고급 호텔을 introduction해 주는 여행사처럼 그 이미지가 부각되고 있다고 한다면 너무 지나친 말일까?`라고 옥 한흠 목사는 지적한다.` 일반 종교를 연구하는 불신학자의 눈에도 한국교회의 양적 증가가 순수하게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은 깊이 생각할 문제가 아닌가 한다. 기독교는 숫적인 우위와 현실에 호소하는 메세지와 막강한 影響(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어찌하여 기독교가 무기력해졌는가? 나이로비(Nairobi)에 있는 세계 복음화연구소(Center for Study of World Evangelization)는 최근 세계 223개국, 6,270종족, 50대종교, 9,000개 이상의 기독교 교단을 철저히 analysis(분석) 하여 컴퓨터 통계를 발표했다. `기독교로 개종한 신자들이 언젠가 다시 복귀, 아니면 세속화 할 가능성을 강하게 가진 한국교회의 부흥현상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북미에서도 95만명이 줄었다는 것이다. 40억이 넘는 인구 중 약 사분의 일이 기독교인이다.
문화인류학 교수인 최 길성 씨는 현대교회로 몰려가는 사람들이 언젠가는 떠날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 이렇게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