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10:51본문
Download : linked 보고서.hwp
2. Problem Statement
(1) headInsert함수
주어진 data를 리스트의 맨 앞에 넣어주는 함수를 생성해야한다.
struct list a, b, c;
를 선언하면 구조체 변수 a, b, c를 이용하여 연결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구조체에 몇 개의 값을 할당한다.
a.data=1;
b.data=2;
c.data=3;
a.next=b.nest=c.next=NULL;
다음으로 세 개의 구조체를 연결한다.
struct list{
int data;
struct list next;
};
를 定義(정의) 했을 때, struct list의 변수는 두 개의 멤버, data와 next를 갖는다. 이 때, 포인트 변수 next는 링크라고 부른다.
이번 실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기참조 구조체를 알아야한다. 자기참조 구조체란 포인터 멤버를 가진 구조체가 자기 자신의 구조체형을 가리키는 구조체를 말한다.
설명
linked 보고서
linked 보고서






1. Introduction
자체참조 구조를 이용하여 만든 연결리스트를 이해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Insert, Delete함수를 구현해본다.
a.next=&b;
b.next=&c;
이 포인터 할당은 a에서 b로, b에서 c로 포인터를 연결한다.
data를 집어넣을 새로운 노드를 생성하고, 노드의 link부를 m_head의 주소 값으로 할당한다.
a.next-`data;
a.next-`next-`data;
각각 2와 3의 값을 가지게 된다
실습을 위해서는 메모리 동적 할당에 상대하여도 알아야하고 메모리 동적 할당 함수인 malloc과 free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메모리 동적 할당 함수 malloc의 원형은
void malloc(unsigned int);
이나, NODE형으로 되어있는 new_node에 NODE…(skip)
linked,기타,레포트
순서
linked 보고서 , linked 보고서기타레포트 , linked
Download : linked 보고서.hwp( 51 )
레포트/기타
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새로운 노드에 메모리 동적 할당을 이용해서 메모리를 준비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연결리스트 내의 원소를 次例(차례)로 따져가며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