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9 21:46
본문
Download :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hwp
잡가는 하층민의 구비문학이라는 속성 으로 인하여 담당층을 확증할 만한 명확한 가 부족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민요냐, 가사냐, 판소리냐를 놓고 잡가를 둘러싼 장르적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잡가의 성격을 한층 더 명확히 이해하고자 한다.
I. 잡가의 담당층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잡가에는 서울의 二十雜歌가 있고, 短歌가 있으며, 경서남도잡가도 있고 휘모리 잡가도 있다. 서민층은 賤妓와 같은 최하층신분의 창자 아니면 자기 자신들의 가창에 의존하는 등 창자와 수용자의 신분별 향유방식이 고정화 되어 있었다. 특히 작자가 대부분 드러나지 않는 잡가에 있어서 우리는 창자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에 의존하여 그 담당층의 윤곽을 이해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조선조의 경우 그 사회제도가 이미 경직된 것이어서 시가장르의 향유방식도 이미 정해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비문학에 있어서 그 作者와 唱者, 讀者(혹은 聽者)는 첨예한 의식의 격차가 없는 결국 동질적인 집단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十二歌詞도 잡가의 한 부류로 보아야 한다. 잡가는 「靑丘永言」이나 「歌曲源流」등의 시조집에 가사와 섞여 수록되어 있으면서 歌詞로 취급되었고 20세기 초에 들어와서는 잡가집이라는 명칭으로 발간된 책자 속에 다량의 잡가가 수록되어 있었다.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잡가는 가창을 전제로 하는 작자 ․ 연대 미상의 시가이다. 그러니 창자도 이들 각 부류에 따라 달리 나타나게 된다
다.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6816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A%B3%A0%EC%A0%84%EC%86%8C%EC%84%A4%EB%A1%A0%5D%20-%20%20%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6816_01_.jpg)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6816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A%B3%A0%EC%A0%84%EC%86%8C%EC%84%A4%EB%A1%A0%5D%20-%20%20%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6816_02_.jpg)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6816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A%B3%A0%EC%A0%84%EC%86%8C%EC%84%A4%EB%A1%A0%5D%20-%20%20%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6816_03_.jpg)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6816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A%B3%A0%EC%A0%84%EC%86%8C%EC%84%A4%EB%A1%A0%5D%20-%20%20%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6816_04_.jpg)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6816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A%B3%A0%EC%A0%84%EC%86%8C%EC%84%A4%EB%A1%A0%5D%20-%20%20%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6816_05_.jpg)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먼저
.
순서
본론
1. 初期雜歌
Download : [고전소설론] - 잡가의 담당층과.hwp( 18 )
.
잡가는 구비문학이라는 그 특유의 성격 때문에 담당층을 입증할 만한 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창자나 작자 혹은 청자 가운데 창자의 윤곽을 밝혀서 잡가를 함께 누린 담당층의 무리를 설정하고자 한다. 그래서 잡가의 경우에 있어서 그 작자나 창자 혹은 청자 중에서 어느 한쪽만 밝힐 수 있으면 잡가를 담당한 전체집단의 성격을 규명할 수가 있다. 그래서 비록 담당층의 구체적 실상을 모두 드러내진 못할지라도 그 가창집단의 해명작업에 의거 담당층의 전체적 윤곽만은 파악할 수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