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歷史),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1 15:23본문
Download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pptx
조선의 초대 임금인 1대 태조부터 처음 해서 추존왕 문조(효명세자)까지 총 9개의 릉이 있어, 동구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후 문종과 선조, 장렬왕후, 현종이 묻히면서 동오릉으로 불렸고, 단의왕후와 영조의 능이 만들어지면서 동칠릉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헌종과 문조(효명 세자가 나중에 얻은 칭호)가 안장되면서 19세기 중반부터 동구릉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_SLIDE_1_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
_SLIDE_2_
목차
1. 답사지 introduction
(1)동구릉
(2)동구릉의 歷史
2. 왕릉
(1)전체적 구조
(2)능침공간의 구조
(3) 능의 유형
(4)능 별 특징 비교
3. 결론
_SLIDE_3_
1. 답사지 introduction
(1) 동구릉
동구릉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왕릉이다.
_SLIDE_4_
1. 답사지 introduction
(2)동구릉의 歷史
동구릉은 1408년(태종 8년) 태조 이성계가 세상을 떠나면서 처음 조성되기 처음 하였다.
_SLIDE_5_
2. 왕릉
(1) 왕릉의 전체 구조
홍살문
참도
정자각
참도: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깔아놓은 길. 중앙을 경계선으로 왼쪽은 신도, 오른쪽은 어도로 각각 신과 임금이 다니는 길
정자각: 정자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제향을 하는 건물
홍살문: 묘역의 입구라는 표시로
신성한 곳임을 알리기
위한 것
_SLIDE_6_
2.왕릉
(2) 능침공간의 개요
난간석: 봉분 보호. 기둥은 석주, 횡석주는 죽석, 죽석 중간에 바쳐둔 작은 기둥은 동자석주.
석호 석양: 호는 산과 능을 지켜주고 석양은 사악한 것을 물리치고 명복을 비는 뜻이 담겨 있따
추존한 왕릉에는 석호와 석양이 각각 2개씩 있어 일반 왕릉과는 차등을 둠
장명등: 무덤에 불을 밝혀 신들이 놀 수 있도…(투비컨티뉴드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歷史),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조선,왕릉,통해,살펴본,조선,동구릉,역사,능침공간,구조,능,유형,능,별,특징,비교,기타,레포트
Download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pptx( 24 )
설명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歷史),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레포트/기타
순서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기타레포트 , 조선 왕릉 통해 살펴본 조선 동구릉 역사 능침공간 구조 능 유형 능 별 특징 비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