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chmark.co.kr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 benchmark3 | benchmark.co.kr report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 benchmark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enchmark3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8 01:46

본문




Download :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hwp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7550_01_.jpg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7550_02_.jpg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7550_03_.jpg



①고려의
①과거제는 원리상으로 반귀족적인 일면이 있었으나 출생신분을 초월하여 개인의 능력에 만 기준을 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사회층인 중앙관료나 지방호족의 자제들을 등용하는 제도.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③귀족사회는 성종 대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문물제도가 완비된 문종 대를 거쳐 예종, 인종 대에 전형적인 모습을 나타냈으나, 1170년 무인정변에 의해 붕괴됨.

이에 따르면 고려 초의 지배세력은 호족이었고, 그 정치형태는 호족연합정권이었다. 고려중기 이후부터 유교정치이념을 기반으로 한 집권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기존의 호족세력의 일부는 중앙 관인화하였고, 일부는 지방 향리층으로 고착화 되었다. 이 중 중앙관인화한 세력은 점차 문벌귀족이 되었고 이들에 의해 고려사회가 이끌어져 나갔기 때문에 고려사회를 문벌귀족제사회로 보았다.

.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1930년대와 1940년대 안확과 손진태가 제기. 학계의 정설로 간주됨.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서양의 귀족 정이 을 원용하여 고려시대의 지배세력을 귀족으로 규정 작위의 세습, 토지의 무기영대적 소유, 폐쇄적 통혼권의 형성 박종기, 「고려사회 성격론」, 『한국전근대사의 주요쟁점』, (history(역사) 비평사, 2002), p. 131.
-박용운『고려시대사』(1985)→‘문벌귀족사회’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Download :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hwp( 76 )


다.

2. 귀족사회론





순서
1970년대에 이기백, 변태섭 등은 지배세력의 존재형태를 기준으로 고려사회의 성격을 이해하는 지배 세력론을 제시하였고, 이후 남한 history(역사) 학계에서 정설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설명
-이기백『한국사신론』(1967)→‘문벌귀족의 사회’

-1970년대 관료 사회론이 제기되면서 확고한 체계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

.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②관리등용으로는 음서제의 기능이 더 중요.
이러한 귀족제 사회론은 이후 고려의 지배세력을 귀족적 존재로 볼 것인가 아니면 관료적 존재로 볼 것인가 하는 이른바 귀족제와 관료제 논쟁으로 발전했다.
전체 17,36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enchmar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