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己出)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9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0 01:45
본문
Download : 동양9강.hwp
이 자료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시험에 나왔던 기출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주관식// 네모: 객관식).**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9강인문사회레포트 , 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9강 아이캠퍼스
설명
순서
**시험에 나왔던 기출(己出)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主觀式// 네모: objective(객관식) ).**
기출(己出)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9강
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
Download : 동양9강.hwp( 90 )
<<<빈공간 부분은 강의안이 캡쳐되어있는 부분입니다.
이 data(資料)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
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
<노장사상 vs 불교>
노장사상: 사물의 상대성과 상황의 상대성을 강조
불교: 상대성을 초월해야 진정한 진리를 얻게 되고 진정한 해탈을 이루게 됨->공성(空性)
‘china불교’와 ‘china의 불교’
china불교: china의 文化와 교류과정을 거치면서 china화 된 불교(ex.대승불교이면서 선종)
china의 불교: 인도불교를 말함. china과 어떠한 교류도 발생하지 인도 고유의 색채를 갖고
있는 불교(ex.유식종(唯識宗))
1.근본불교
-부처가 수행을 처음 하여 성불을 한 후의 50년간의 시기
-유파가 별로 없었음
2.원시불교
-부처 성불 후 50년부터 150년까지의 시기
3.부파불교
-많은 논쟁이 발생함. 첫 번째 분열 발생
: 장로파로 구성…(skip)
한성구,동양사상입문,강의안,9강,아이캠퍼스,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
-불교에서 중점을 두었던 부분: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기 전에 왜 괴로움을 당하는가,
고난의 근원은 무엇인가?
-china의 역싸상 외부에서 사상이 전래된 두 번의 예
1.불교
2.근대시기의 서양의 과학사상의 전래
-부처가 노자의 제자라는 설도 있음: 신빙성 없음.
<불교의 빠른 확산 Cause >
-세속방식을 통한 전파
-구속(救贖)방식: 구복신앙적 성격이 민중들에게 인기가 생김
-격의(隔意)방식: 노장사상이나 위진현학의 槪念들을 통해 불교를 紹介하려는 노력을 하였
음. china의 독특한 해석방식
-유비(類比)와 연류(連類): 비슷한 槪念을 연결하여 씀, 창의적 해석 가능
-견강부회(牽强附會)의 우려: 오독이나 곡해의 가능성
-기존의 학문의 주도계층은 지배계층이나 지식인 계층이었으나, 불교는 기본적으로 인간이라는 보편 존재에 대해 물음을 던짐으로써, 글을 모르는 일반 계층에게도 인기를 얻음.
<유가 vs 불교>
유가: 실재론적인 사고에 밑바탕. 우리가 사는 세상과 나라는 존재에 대해 의심하지 않음.
불교: 외부세계와 나의 존재가 모두 헛된 것이다.
다.
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data(資料)입니다.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
<노장사상 vs 불교>
노장사상: 사물의 상대성과 상황의 상대성을 강조
불교: 상대성을 초월해야 진정한 진리를 얻게 되고 진정한 해탈을 이루게 됨->공성(空性)
‘china불교와 ‘china의 불교
china불교: china의 文化와 교류과정을 거치면서 china화 된 불교(ex.대승불교이면서 선종)
china의 불교: 인도불교를 말함. china과 어떠한 교류도 발생하지 인도 고유의 색채를 갖고
있는 불교(ex.유식종(唯識宗))
1.근본불교
-부처가 수행을 처음 하여 성불을 한 후의 50년간의 시기
-유파가 별로 없었음
2.원시불교
-부처 성불 후 50년부터 150년까지의 시기
3.부파불교
-많은 논쟁이 발생함. 첫 번째 분열 발생
: 장로파로 구성된 ‘상좌부와 비구로 구성된 ‘대중부의 대립
-그 후 20부로 나눠짐.
-불교에서 중점을 두었던 부분: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기 전에 왜 괴로움을 당하는가,
고난의 근원은 무엇인가?
-china의 역싸상 외부에서 사상이 전래된 두 번의 예
1.불교
2.근대시기의 서양의 과학사상의 전래
-부처가 노자의 제자라는 설도 있음: 신빙성 없음.
<불교의 빠른 확산 Cause >
-세속방식을 통한 전파
-구속(救贖)방식: 구복신앙적 성격이 민중들에게 인기가 생김
-격의(隔意)방식: 노장사상이나 위진현학의 槪念들을 통해 불교를 紹介하려는 노력을 하였
음. china의 독특한 해석방식
-유비(類比)와 연류(連類): 비슷한 槪念을 연결하여 씀, 창의적 해석 가능
-견강부회(牽强附會)의 우려: 오독이나 곡해의 가능성
-기존의 학문의 주도계층은 지배계층이나 지식인 계층이었으나, 불교는 기본적으로 인간이라는 보편 존재에 대해 물음을 던짐으로써, 글을 모르는 일반 계층에게도 인기를 얻음.
<유가 vs 불교>
유가: 실재론적인 사고에 밑바탕. 우리가 사는 세상과 나라는 존재에 대해 의심하지 않음.
불교: 외부세계와 나의 존재가 모두 헛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