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l]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2 23:17본문
Download :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분석.hwp
④ 부동산은 한 번 사용되면 그 용도를 마음대로 바꾸기 어려운 비가역성을 갖고 있다
5. 입지경쟁
입지선정 과정에서 더 유리한 이용을 하려는 입지경쟁이 발생한다.
Download :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분석.hwp( 70 )
순서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分析(분석)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分析(분석)
레포트/법학행정
[부동산학],부동산,입지분석,법학행정,레포트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분석 ,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분석법학행정레포트 , [부동산학] 부동산 입지분석
설명
부동산 입지분석
제1절. 입지선定義(정의) 의의
1. 부동산 입지선定義(정의) concept(개념)
부동산의 입지(立地, location)라함은 어떤 부동산이 차지하고 있는 장소와 그 장소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를 통합한 concept(개념)이다.
정해진 용도에 ⇒ 어떤 위치의 부지가 적합할까? : 입지론
주어진 토지를 ⇒ 어떤 용도로 이용함이 적합할까? : 적지론
4. 부동산 입지연구의 당위성
① 입지선정이 잘못되면 아무리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불리한 입지여건을 보완하지 못하고 당해 사업의 실패를 불러올 수도 있다
② 부동산은 일반재화와는 다른 자연적 특성(特性)과 인문적 특성(特性)으로 인하여, 그 위치에 따라 해당부동산의 용도에 따른 최유효이용이 판단되기 때문일것이다
③ 주위의 다른 토지이용이 대상부지의 용도에 미치는 effect(영향) 을 입지효능라 하는데 입지선정에 고려되어야 한다. 부동산 입지선정이란 부동산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부동산현상을 분석하여 대상부동산의 입지를 선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2. 부동산입지선定義(정의) 중요성
입지선정이 중요한 이유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입…(skip)
![[부동산학]%20부동산%20입지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20%EC%9E%85%EC%A7%80%EB%B6%84%EC%84%9D_hwp_01.gif)
![[부동산학]%20부동산%20입지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20%EC%9E%85%EC%A7%80%EB%B6%84%EC%84%9D_hwp_02.gif)
![[부동산학]%20부동산%20입지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20%EC%9E%85%EC%A7%80%EB%B6%84%EC%84%9D_hwp_03.gif)
![[부동산학]%20부동산%20입지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20%EC%9E%85%EC%A7%80%EB%B6%84%EC%84%9D_hwp_04.gif)
![[부동산학]%20부동산%20입지분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20%EC%9E%85%EC%A7%80%EB%B6%84%EC%84%9D_hwp_05.gif)
![[부동산학]%20부동산%20입지분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20%EC%9E%85%EC%A7%80%EB%B6%84%EC%84%9D_hwp_06.gif)
다.
① 입지를 한 번 선정하면 마음대로 위치를 바꾸기 어려운 비가역성 때문일것이다
② 부동산에는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및 용도의 다양성이 있기 때문일것이다
③ 입지선정에 있어 경제적, 행정적 여건의 change(변화)를 예측해야 하기 때문일것이다
④ 부동산은 당해 부동산이 속한 지역과 동질성이 있어야 가치가 높기 때문일것이다
⑤ 도시부동산의 거래활동에 있어서 용도 등으로 인한 차이는 있으나 입지선정과 무관한 거래활동은 거의 없다. 반면에 적지론은 그 토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최적인지를 논의하는 것을 말한다.
3. 입지론과 적지론
입지선정이란 토지이용의 결정측면에서 입지주체가 추구하는 입지조건을 갖춘 적합한 장소를 발견하는 활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