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근, 현대 歷史(역사)와 군사사상(歷史(역사)와 군사의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2 03:14본문
Download : 근현대 군사사(장해용).hwp
>
2) 자주적 국방 추구 /
대학원 발표자료로 작성한 내용으로 조선의 근, 현대 역사와 이에 따른 군사사의 발전방향을 연표와 역사적 사실의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개조식으로 서술 <교수님께서 극찬 하셨습니다.>
1) 개항 전 주변 정세 / 대원군 부국강병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대학원 발표資料로 작성한 내용으로 조선의 근, 현대 歷史(역사)와 이에 따른 군사사의 발전방향을
1-1) 개항 전 세계 정세(아시아 3국 위주)
-1308_01_.jpg)
-1308_02_.jpg)
-1308_03_.jpg)
-1308_04_.jpg)
Download : 근현대 군사사(장해용).hwp( 70 )
Ⅰ. 개항 前 세계 정세(아시아 3국 위주)
※ 베이징 조약 결과 러시아 남하정책 (대 조선 접촉) 가능
다.순서
2) 개항 후 부국강병론과 군사 근대화
2-2) 개항 후 부국강병론과 군사 근대화
☞ 베이징 조약 : 홍콩의 중심인 구룽반도 영국 할양, 연해주 러시아 할양, 항구 추가 개방 등
1. 개항 후 부국강병론과 군사 근대화
조선의 근, 현대 歷史(역사)와 군사사상(歷史(역사)와 군사의 발전)
나. 1857년 제2 아편전쟁 → 1858년 텐진조약 → 1860년 10월 18일 베이징 조약(러시아 중재)
1) 고종에 의한 청과의 사대관계 개편 / 반청 노선
연표와 歷史(역사)적 사실의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개조식으로 서술
1-2) 흥선 대원군의 부국 강병책
☞ 난징조약 : 홍콩할양, 광저우등 5개항 개항, 영사 설치, 배상금 지급, 관세 제한, 교섭 등
2-1) 개항 시기 조선 내/외부 정세(history(역사) 적 사건 위주)
가. 1840년 아편전쟁 → 42년 난징조약(불평등) → 51년 태평청국운동 : 영국의 수출 부진
2. 반청 정책과 자주적 국방 추구
설명
조선,근대,역사,군사,군사사,사상
1. “청” : china(중국)
<교수님께서 극찬 하셨습니다.